아르테일 성장일기

[아르테일🍁] 불,독 매지션을 위한 최하층 데스테니 사냥 가이드 본문

아르테일🍁/팁

[아르테일🍁] 불,독 매지션을 위한 최하층 데스테니 사냥 가이드

고 양 2023. 11. 14. 00:49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르테일 플레이어 고양입니다.

 

이 글은 포이즌 브레스(이하 브레스)로 데스테니를 사냥하는 불, 독 매지션을 위한 글입니다.
또한 이 글은 정답이 아니며 100% 경험과 주관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플레이어분들의 피드백 감사히 받겠습니다.

잊혀진 시간의 길 3은 지형도 꽤나 까다롭고 몹의 마법데미지도 상당히 아파서 멋모르고 들어갔다간 비득하기 일쑤입니다...
특히 처음 데스테니 사냥을 시작하는 불, 독 매지션의 경우 꼭 이 포스팅을 읽고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보기만 해도 무서운 데스테니

 

 

사냥터 정보

출현 몬스터 : 데스테니

맵은 층이 많고 복잡해서 루프를 설계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이곳에 서식하는 데스테니는 언데드 몬스터로서 성, 불 속성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리스트와 함께 와서 성불시켜 줍시다.
따라서 불, 독 매지션과 프리스트로 구성된 파티는 상당한 어드밴티지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포션과 펫 세팅
포션 세팅 방법은 최소 체력을 세팅하는 경우와 매직가드를 쓰는 경우로 나뉩니다.

  • 최소 체력을 세팅하는 경우
    데스테니의 마법 공격 한 방을 버텨낼 수 있습니다.
    펫 HP 게이지 90%, 물약은 일본 맵에서 판매하는 키노코라면을 많이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근 HP 옵션이 붙어있는 다양한 아이템이 추가됨으로서 최소 피통을 쉽게 세팅할 수 있습니다.

  • 매직가드를 쓰는 경우
    이 경우 매직가드 없이는 무슨 짓을 해도 비석을 구경합니다.
    피뻥을 받는 경우보다는 죽을 확률이 조금 낮아지지만 물약 값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펫 MP 게이지 90%,  물약은 맑은 물이나 팥빙수를 준비하시면 됩니다. (맑은 물의 경우 물약 수동 사용이 필수입니다.)

 

 

체력 세팅은 이렇게 하세요

체력 세팅에 관한 내용은 따로 분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4.01.21 - [아르테일🍁] - [아르테일🍁] 법사들이 체력을 올리는 다양한 방법!

 

[아르테일🍁] 법사들이 체력을 올리는 다양한 방법!

안녕하세요. 아르테일 플레이어 고양입니다. 법사들이 체력을 올리는 다양한 방법과 어떤 경우에 어떤 방법이 적합한지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뻥캐 키우기 스피어맨은 최대 HP/MP를 증가시켜 주

blushedblond.tistory.com

 

독 데미지는 마력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아이템 스펙이 체력에 맞춰져도 괜찮습니다.
위덤스태프는 럭이 필요 없고 150의 체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함께 세팅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데스테니 사냥을 처음 시작하는 65~68 구간의 기본 체력이 1100 중반대이고

데스테니의 마법 데미지는 최대 1300 중반대인 것을 감안하여 최소 체력을 세팅하시기 바랍니다.

 

 

맵루프는 이렇게 도세요

많은 분들이 데스테니 맵의 길을 따라 지그재그로 도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하지만 징검다리가 많고 중간중간 마법공격을 받는 경우가 많아서
루프를 다 타지 못하고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시간이 곧 데미지인 독사냥에 있어서 맵 루프는 경험치와 직결됩니다.


제 방식은 조금 다른데 맵 텔레포트 포탈(이하 맵텔)을 기준으로 맵을 좌/우로 나눠줍니다.

  1. 맵 중간선 기준 왼쪽을 하향점프로 이동합니다.
  2. 1층에 도착하면 중간으로 이동, 맵텔을 타줍니다.
  3. 이번엔 맵 오른쪽을 하향점프로 이동합니다.
  4. 1층에 도착하면 중간으로 이동, 맵텔을 타줍니다.
  5. 1~4까지 반복하며 맵을 뫼비우스의 띠( ∞ ) 모양으로 돌아줍니다.
  6. 프리스트와 1:1 파티사냥 시 옥상(+가끔 1층)은 프리스트에게 넘기고 나머지를 맡으면 됩니다.
  7. 파티 중인 프리스트가 어리바리 탄다면 이 블로그를 소개해줍시다.

 

 

사냥은 이렇게 하세요

첫 독을 뿌리는 첫 루프를 제외하고 몹은 무조건 딸피라고 가정하고 애로우로 먼저 공격합니다.
"중독이 안되어 있으면 애로우 써도 소용없지 않나요?"
오히려 애로우를 쓰는 편이 압도적으로 효율적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몹이 딸피가 아닌 경우
    독 대미지의 간격이 너프 되었기 때문에 브레스로 최대한 중독시켜도 애로우로 뒷정리를 해줘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두 방 먼저 때려 둬도 손해가 아닙니다.

  2. 몹이 딸피인 경우
    이 경우 브레스를 사용하면 데미지의 낭비가 생깁니다. 어차피 애로우로 정리를 해줘야 합니다.
    브레스는 단일 타깃 스킬이기 때문에 딸피인 녀석이 정리가 되어야 뒤에 있는 몹에게 독 데미지를 먹일 수 있습니다.

  3. 몹이 딸피인지 아닌지 모를 경우
    루프를 돌고 나면 중독이 끝나 있는 경우도 있고, 새로 생긴 몹이 섞여있어서 딸피인지 풀피인지 구분이 안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애로우로 잡몹을 정리 + 독 뿌릴 상대를 구분해 주는 것입니다.

맵루프와 사냥 방법의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주의사항

  1. 맵 진입 시 매직가드 켜고 들어가세요. 운 나쁘면 젠 되어 있는 데스테니랑 뽀뽀하고 마을 강제 귀환 됩니다.
    (사실 이 부분은 최하층 어디를 가도 마찬가지입니다.)
  2. 펫이 물약을 제 때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니 수동 사용 포션을 꼭 등록해 주세요.

 

 

마치며

물약 값 대느라 허덕이는 바람에 스킬 초기화 할 타이밍을 놓치고 레벨이 82인데도 브레스로 데스테니를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덕분에 나름대로 노하우가 많이 생겼고 지금은 졸면서 사냥해도 10분 동안 경험치 20만 이상 챙겨가고 있어요.

홀리심볼 받으면 10분에 30만도 먹습니다.

 

최하층 사냥법은 다양하게 연구도 많이 진행됐고 데스테니는 잠깐 거쳐가는 곳일 뿐이지만,
많은 불, 독 플레이어 분들이 제 글을 읽고 조금이라도 리스크를 줄이고 편하게 레벨링 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